'대학수학능력시험은 머리가 좋다고 만점이 가능한가?'에 대해서 글을 작성하고자 합니다. 우연히 유튜브 채널 미미미누에서 6번의 도전 끝에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입학이라는 쾌거를 거둔 학생의 스토리를 보았습니다. 스토리를 들으면서 참 신기했습니다. 합격한 학생은 공부를 못하는 학생이었을까요?
• 출연 학생의 이력
- 과학고등학교 입학
- 서울대학교 산출 방식의 과학고등학교 성적 전교 2등
- 2학년 1학기 조기 졸업제도로 서울대학교 수시모집 1차 합격, 면접 불합격
- 카이스트(KAIST) 입학 후 바로 집으로 상경
- 재수종합반 등록 - 시대인재
- 대학수학능력시험 연도별 성적
학년도 | 한국사 | 국어 | 수학 | 영어 | 과학탐구 | |
2018 (조기졸업) | 7 | 9 | 4 | 6 | 5(물리II) | 4(화학II) |
2019 | 2 | 2 | 2 | 1 | 2(물리I) | 2(생명과학II) |
2020 (고대의대합격) | 3 | 1 | 1 | 1 | 1 | 1 |
2021 | 생략 | |||||
2022 | 생략 | |||||
2023 (연대의대합격) | 1 | 1 | 1 | 1 | 1(물리I) | 1(생명과학I) |
이 학생은 '공부를 잘하느냐? 못 하느냐?' 질문에 기본적으로 '잘한다'입니다. 과학고등학교 학생들이 일반적으로 KAIST로 진학을 많이 해서 등급이 낮은 학생들이 지원할 수 있는 대학교가 아닙니다. 정시모집에서 KAIST는 1등급 최상위 학생들이 지원합니다. 이러한 학생이 수학능력시험에 대비하지 않은 2018학년도 수능 성적은 한국사(7등급), 국어(9등급), 수학(4등급), 영어(6등급), 과학탐구 물리 II(5등급) 및 화학 II(4등급)이었습니다. 참담한 결과 그 자체입니다.
표본이 1명 이므로 이 결과가 정확하다고 할 수는 없습니다. 드라마에서 보는 천재적인 기지를 발휘하는 학생도 있을 수 있습니다. 보편적이며 상식적으로 생각을 해보자는 것입니다. 수능 시험은 낯선 환경과 정해진 시간만으로도 학생 본인이 받는 압박은 큽니다. 이 상황에서 압박을 극복하며 역량을 발휘해야 합니다.
그러므로, 수능 준비는 대학을 가기 위해서 필연적인 과정입니다. 이 과정은 연습과 전략이 복합적으로 이루어져야 원하는 대학에 입학이라는 성취를 이룰 수 있습니다. 수능 시험 대비 시간 계획 [2025년도 고등학생 수능 만점 등급을 위한 시험계획 세우는 방법]을 하셔서 2026학년도 수능을 위한 마음을 새로이 하시고 앞을 향해서 나아갔으면 좋겠습니다. 이만 줄이겠습니다.
'수험생입시자료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을지대학교 의과대학 수능최저학력기준 및 병원 주요 사항 (1) | 2025.02.17 |
---|---|
전국 고등학생들의 낭만 전국의과대학 별 수능 최저 학력 기준 (1) | 2025.02.16 |
2025년도 고등학생 수능 만점 등급을 위한 시험계획 세우는 방법 (2) | 2025.02.10 |
2026학년도 대입 고등학교 3학년 초 설명회 및 자료 보급 정보 (1) | 2025.02.04 |
대학교 학과 선택 시 중요한 임금 소득 (2) | 2025.02.03 |
댓글